농기계(콤바인) 고의 파손 공학 분석 사례 > 업무사례

본문 바로가기

농기계(콤바인) 고의 파손 공학 분석 사례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차량기술법인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-09-01 00:10

본문

▣ 농기계(콤바인) 고의 파손 공학 분석 사례




* 감정목적물 : 얀마(YANMAR) 보통형 콤바인(YH1150)




* 감 정 사 항 : 탈곡 · 선별부 사고발생 원인 분석




▣ 콤바인 탈곡·선별부 내 손상 부위 및 원인

b15e764cad7ae9a043e45b55ed45eb4f_1735877007_3147.jpg

 

▶ 해당 사례의 YH1150 콤바인은 대두(콩) 작업용 농기계이며, 콩 추수 작업 중 이물질(돌)이 작물과 함께 유입되어 탈곡·선별부가 손상되었다는 것임

b15e764cad7ae9a043e45b55ed45eb4f_1735877046_5445.jpg

▶ 사고사진1. 사진 내 표기된 바와 같이 돌이 유입되어 스크류 로터, 탈곡통 커버, 프레임, 수망 등이 손상 되어있음

 

b15e764cad7ae9a043e45b55ed45eb4f_1735877092_0087.jpg

▶ 사고사진2. 주요 손상 부위는 작물 투입부가 아닌 탈곡부 중간지점으로 손상 부위의 특이점이 확인됨




▣ 동일 모델 콤바인 및 타사 콤바인을 이용한 실사


* 동일 모델 콤바인(YH1150) : 실사에 활용된 동일한 콤바인(YH1150)은 미사용 제품으로서 이물질(돌) 유입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각 주요 부위의 제원을 측정하였음




* 타사 콤바인(HC800) : 사고 콤바인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는 콤바인(ISEKI HC800)을 이용하여 이물질(돌)을 인위적으로 투입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음 

 

b15e764cad7ae9a043e45b55ed45eb4f_1735878359_948.jpg

▶ 동일 모델(YH1150) 콤바인(1). 예취날에 의해 절단된 작물을 탈곡부로 이송하는 장치(피더하우스) 내 작물 고정 높이는 약 5cm로 확인되었음

 

b15e764cad7ae9a043e45b55ed45eb4f_1735879414_8894.jpg

▶ 동일 모델(YH1150) 콤바인(1). 예취날에 의해 절단된 작물을 탈곡부로 이송하는 장치(피더하우스) 내 작물 고정 높이는 약 5cm로 확인되었음

 

b15e764cad7ae9a043e45b55ed45eb4f_1735878536_6218.jpg

▶ 타사 모델(HC800) 콤바인(1). 이물질(돌) 투입 결과 피더하우스 내 Feeder Drum의 슬랫(Slat)에 의해 이송되지 못하고 끼임 현상이 발생함(작동 멈춤)




▣ 농기계(콤바인) 고의 파손 공학 분석 결과


 본 건 농기계(콤바인)의 탈곡·선별부 손상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  동일 모델(YH1150) 및 타사 모델(HC800)을 활용하여 이물질(돌)이 투입될 수 있는 경로의 형상(형태 및 크기)을 확인하였으며 이물질(돌)을 인위적으로 투입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음



1) 동일 모델 실사 결과


 예취날에 의해 절단된 작물을 탈곡부로 이송시켜주는 피더하우스 내 작물 고정 높이는 5cm 정도로 파악되었음




2) 타사 모델 실사 결과


 작물이 투입되는 피더하우스 입구측에 이물질(돌)을 투입시킨 결과 작물 고정 공간에 끼임현상과 동시에 장비가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였음




3) 탈곡·선별부 내 손상 부위


 탈곡부 내 스크류 로터는 300RPM이상으로 작동되는 장치이며, 이물질(돌) 유입시 탈곡부 내 작물 투입구측에서의 손상이 예상되나, 해당 사고 콤바인의 경우 탈곡부 중간부에서만 손상이 확인됨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